선박연료로서의 LNG는 향후 20년이 넘어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이를 위해서는 LNG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었다. 로이드선급(LR)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LNG는 가장 선호도가 높은 대안 선박연료로 현재 조선업계 수주..
미국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조선업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 및 규제를 진행 및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본지는 어떻게 중국 조선소가 조선업 패권을 장악하고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을까 집중 분석해본다. 영국 런던 소재 해사 컨설팅업체인 Maritim..
지난 2005~2010년 간 대거 인도된 선박들의 대체 수요에 힘입어 조선업계의 새로운 '슈퍼 사이클' 도래가 기대되나, 올해 신조선가는 정체될 것으로 보이며 조선사들이 캐파(capacity)를 확충하더라도 전반적인 신조 투자 둔화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문가 ..
한국 해군력 증강에 대한 뜨거운 감자인 핵추진함 보유 가능한가? 보유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핵추진함은 물속에서 오랫동안 작전 수행이 가능하고, 엄청난 속도를 낼 수 있어서 해군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꿈의 무기로 불리우나,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복합적으로 살펴..
막대한 일감으로 말미암아 글로벌 조선업계가 컨테이너선 부문에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롱 리드 타임(lead time)'을 기록하고 있다. 컨테이너선 해운시황 분석기관인 Alphaliner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글로벌..
강화 추세의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일부 주요 선종의 항해 속도가 역대급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인 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올해 LNG운반선, 벌커, 석유제품운반선의 항해 속도(knot)가 사상 최저 수준을 기록..
조선·해운 부문에서 몸집이 비대해진 중국에 대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견제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2월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알려졌다. 다만, 미국의..
자국 조선업 진흥을 위한 인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인도 정부는 자국 조선업을 2030년까지 세계 10위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로, 관련 지원을 위한 2,500억INR(약 4조 2,000억원) 규모의 해상개발펀드 조성도 추진 중이다. 현재 글로벌 조선업계 내 인도의 시장..
노르웨이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스타트업 회사인 Bruton가 양호한 공급-수요 펀더멘탈을 바탕으로 향후 VLCC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업계 정보 및 TradeWinds에 따르면, 오슬로에 상장된 Bruton은 2027년 경에는 VLCC 신조 슬롯이..
올해 들어 우리나라 조선업계 수주 포트폴리오 내 오일 탱커의 존재가 눈에 띈다. 한국 조선사들은 경쟁력 부진이라기보다는 건조설비의 한계와 인력부족에 따른 제한으로 한동안 중국 조선업계에 탱커 수주 高점유율을 내줬으나, 중국 조선사들의 향후 건조 슬릇(slot)이 점차 소진됨에 따..
월별 기사